내적작동모델

1. 애착의 개념과 이론
1) 애착의 개념
애착 이론에서는 유아의 애착 유형은 주 보호자가 유아의 요구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애착을 형성할 무렵 유아는 애착 인물이 자신의 요구에 지지와 보호를 제공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애착 인물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표상을 형성하게되며, 자기가 애착 인물로부터 사랑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사람으로 인정받느냐 못 받느냐에 따라 자기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표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안정 애착을 형성한 유아들은 자기와 애착 인물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표상을 갖게 되며,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유아들은 자기와 타인 모두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어느 한쪽에 대해서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표상을 갖게 된다(Bowlby , 1973).

애착 이론에서는 생후 12개월을 전후한 시기에 형성된 애착 유형이 아동기는 물론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애착의 안정성은 흔히 내적 작동 모델(int ernal working model) 혹은 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을 통해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Bowlby(1969)는 영아기에 형성된 양육자에 대한 애착이 그대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경과와 함께 자기와 타인에 대한 신념으로 재조직된다고 주장하고 이 재조직화된 기대를 내적 작동 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이라고 명명하였다.

내적 작동 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은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인지적 표상으로 애착 인물과의 관계로부터 전개된다. 이는 애착 필요의 통제와 성취에 의해 형성되며, 과거 행동과 경험에 대한 표상으로 조직되고, 새로운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이끄는 틀을 제공한다.(Shaver , Collins & Clark , 1996).

내적 작동 모델에 대한 이론적 관점은 동기와 행동 경향성에 대한 표상을 강조하여 소원, 염려, 목표, 심리적 방어기제, 행동 경향성 등과 같은 무의식적 요소와 불가분하게 얽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내적 작동 모델이 단지 자기 및 타인에 대해서 조직화된 신념과 명제의 세트라기 보다 다음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보았다(Collin s & Read, 1994 ).

첫째, 자전적 기억은 구체적인 상호작용이나 일화에 대한 기억뿐 아니라, 이런 일화들에 놓여있는 자기와 타인의 행동에 대한 경험과 설명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둘째, 신념과 태도는 애착과 관련된 신념, 태도, 그리고 기대들을 포함한다.
셋째, 목표와 동기는 애착과 관련된 목적과 동기가 있는데, 그 기본은 안정성과 애착 유형에 따른 친밀함을 추구, 거절을 회피, 취약성의 느낌을 거부, 그리고 사적인 것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넷째, 작동적 전략은 애착 인물과의 반복적 연속에 기초하며, 만약 -그러면 의 형태로 저장되며, 특정한 상황적 단서나 정서적 경험에 대한 반응에서 자동적으로 촉발된다. 이렇게, 내적 작동 모델은 정서를 지니고 있고(affective- laden ), 정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며 세분화되어 있고, 정서조절에 영향을 끼친다(Fiske & Pavelchak , 1986).

2) 성인 애착 이론 및 성인 애착 유형
성인 애착 이론은 성인의 애착 유형이 초기 아동기에 형성된 이후 성인기까지 아무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아닐지라도 최소한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또한 애착 유형이 부모 이외의 친밀한 타인이나 일반적인 타인과의 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애착 유형이 일종의 특성(trait)이나 성향(disposition )처럼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 애착 유형에서, 유아들과 달리 행동반경이 매우 넓을 뿐만 아니라 부모를 지각하거나 부모와 관계를 맺는 방식 자체가 유아들과 현저하게 다른 성인들의 경우는 애착 유형의 분류 자체가 매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또한 애착 유형별로 행동상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해도 그것이 초기유아기에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것이라고 단정 짓기도 어려우며 때로는 애착 유형에 따라 심리적 특성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20140121-101941.jpg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