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를 배워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스물한 살에 사법고시에 붙었다. 사법연수원을 차석으로 졸업했다. 서울의 한 지방법원에 판사로 임용됐지만 일 년 만에 그만뒀다. 그리고 미국 유학을 떠났다. 철학을 공부하겠다고. 올 3월 서울대 철학과에 부임한 김현섭(36) 교수 얘기다. 그의 이력을 듣고 “왜” 라는 생각이 든다면 세상사에 너무 익숙해진 탓일까. 5년 전, 그가 뉴욕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을 때 그에게 인터뷰 요청을 했다. 그때 던지고 싶었던 질문을 적나라하게 표현하자면 이렇다. “왜 남들은 못 돼서 안달인 판사를 그만두고 인기없는 학문인 철학을 선택했나요.” 5년간 인터뷰를 미뤄 온 그가 마침내 기자를 만나 내놓은 답은 간단했다. “철학이 너무 좋아서요.”  그는 평생 모범생이었다. 대원외고, 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엘리트 법조인의 길을 걸을 수 있었던 그는 사법연수원에 … Read more

하고 싶은 일을 발견하는 법

하고 싶은 일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발견해나가야만 한다 타인과 관계를 맺고 싶다면 제 속에 있는 것을 꺼내서 표현하는 길밖에 없다. 내 속에 있는 감정과 생각에, 말이든 행동이든 생활방식이든 어떤 식으로든 형태를 부여해서 사람들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좋게 받아들여줄지 어떨지, 나를 또 불러줄지 어떨지, 아무튼 표현해보지 않고서는 나와 타인의 연결고리는 생성될 수가 없다. 내 속에 있는 것을 꺼내 보일 때 상대의 반응을 통해 다시 내가 드러난다. 사람들의 반응에 영향을 받고 그 연장선상에서 찾게 되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내 뜻에도 맞고 다른 사람과도 연결되며 나아가 사회와도 이어진다. 사슬처럼 탄탄히 엮어져 나간다.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지금 당장 솟구쳐 오르는 감정, 기분, 아이디어, 생각을 … Read more

기적과 마법이 필요하다.

Victor Kossakovsky 빅토르 코사코프스키 좋은영화는 첫장면에서 부터 자신만의 필체같은 스타일이 드러나야 합니다. 우리에겐 기적과 마법이 꼭 필요합니다. 당신은 왜 태어났는가. 놀랍지 않은가요. 바로 기적입니다. 마법같은.. 기적말입니다. 모든걸 다 쏟아부으면. 영화의 신이 도움을 줍니다. 그래서 훌륭한 영화에는 기적이 필요하고 기적이 일어납니다. http://www.imdb.com/name/nm0467285/ VIVAN LAS ANTIPODAS! (2011) Official Excerpt from Richard Lormand on Vimeo. 본능에 따라 다큐멘터리를 제작해야 한다는 원칙을 들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게 무슨 뜻인가. 또 어떻게 당신의 작품에서 실행해왔는가? “우 리가 만약에 같은 어부라도 어떤 사람은 많이 잡을 수 있고 어떤 사람은 많이 못 잡을 수 있다. 어떤 어부는 냄새만 맡고도 어느 곳에 물고기가 많은 줄 알고 있다. 이건 개인이 … Read more

경계에 서 있어라.

자신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이성에 제어되지 않고 욕망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고 이념의 수행자가 아니라 욕망의 실행자가 된다는 것이다. 타인의 말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말을 표현하려는 사람이다. 삶의 궁극적인 동력의 출처는 나를 표현하는 것에 있어야 한다. 그래서 나를 침해하는 어떤 것에도 도전해야 한다. 그게 때론 나를 거칠게 보일수도 있지만 나의 주체성, 존재성, 나의 존엄을 침해하는 것에는 저항해야 한다. 죽기전까지 해서는 안될 두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충고하기 , 둘째는 남의 충고 듣기 이다. 즉, 나를 한번 나로 살려놓고 나로 한번 살아 보겠다고 해야 하다. 우리 충고하지 맙시다. 그리고 충고 한마디 들었다고 자기 갈 길을 바꾸지 맙시다. 한번 자기 맘대로 살아 봅시다. … Read more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 주는』 14가지 말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 주는』 14가지 말​ 01. 도와줘서 고마워. 02. 참 즐거워 보이는구나. 03. 잘되지 않을 수도 있어. 누구에게나 그런 경우가 있단다. 04.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있단다. 05. 하고 싶은 말은 확실하게 하렴. 06. 참 재미있는 생각이구나! 07. 한번 해 보자. 08. 잘 참았어. 훌륭하다. 09. 엄마(아빠)는 네가 반드시 할 수 있다고 생각해. 10. 어떤 경우에도 너는 너야. 11. 엄마 아빠도 여기까지밖에 못했단다. 12. 가슴을 활짝 펴 보자. 13. 남과 다르다는 건 매우 중요한 거야. 14. 할 수 있다고 마음먹었으면 무엇이든 가능해.

A nice entry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er adipiscing elit. Aenean commodo ligula eget dolor. Aenean massa. Cum sociis natoque penatibus et magnis dis parturient montes, nascetur ridiculus mus. Donec quam felis, ultricies nec, pellentesque eu, pretium quis, sem.

Nulla consequat massa quis enim. Donec pede justo, fringilla vel, aliquet nec, vulputate eget, arcu. In enim justo, rhoncus ut, imperdiet a, venenatis vitae, justo. Nullam dictum felis eu pede mollis pretium. Integer tincidunt. Cras dapibus. Vivamus elementum semper nisi. Aenean vulputate eleifend tellus. Aenean leo ligula, porttitor eu, consequat vitae, eleifend ac, enim.

Read more

매일 스스로에게 하는 6가지 질문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매일 스스로에게 하는 6가지 질문 – 롤리 다스칼 1. 오늘 내가 한 일이 내 삶의 목표와 부합했는가?(Did I Work Toward My Goals Today?) 성공한 리더들은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이해하고 있다. 장기적인 비전을 단기적인 동기부여와 잘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삶의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야말로 당신의 야망과 영감을 높여줄 수 있으며 계속 유지하도록 돕는다. 2. 버려야 할 나쁜 습관은 무엇인가?(What Bad Habits Do I Need to Stop?) 나쁜 습관은 누구나 갖고 있다. 하지만 그런 습관이 당신의 신용과 비즈니스와 업무에 악영향을 미친다. 하루 일과 시간 중에 잠시라도 시간을 쪼개서 당신이 고치지 못하고 있는 나쁜 습관이 무엇인지 자문해 … Read more

진정 바라는 것, Desiderata

진정 바라는 것, Desiderata – by Max Ehrmann 소란스럽고 바쁜 일상 속에 평온하십시오 침묵안에 평화가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포기하지 말고 가능한, 모든 사람들과 잘 지내도록 하십시오. 조용하면서도 분명하게 진실을 말하고, 어리석고 무지한 이들의 말에도 귀 기울이십시오 그들도 역시 할 이야기가 있을 테니까요. 목소리가 크고 공격적인 사람들을 피하십시오. 그들은 영혼을 괴롭힙니다.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무의미하고 괴로운 인생을 살게됩니다 세상에는 자신보다 더 낫고, 더 못한 사람들이 언제나 있기 마련입니다 당신이 계획한 것뿐만 아니라 당신이 이루어 낸 것들을보며 즐거워하십시오. 아무리 보잘 것 없더라도 당신이 하는 일에 온 마음을 쏟으십시오. 무상한 시간의 운명 속에서 그것이 그대가 진실로 소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당신하는 일에 … Read more

12주 코딩 교육기관, 플랫아이언스쿨

뉴욕 맨해튼 남쪽의 플랫아이언스쿨은 요즘 미국에서 가장 뜨는 학교다. 12주 동안만 가르쳐 번듯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길러낸다. 학생들의 대부분은 적성이 맞지 않거나 보수가 낮아 고민하던 직장인이다. 전직은 프로 축구선수, 프로듀서, 스카이다이빙 강사 등 백인백색이다. 공통분모는 프로그래밍엔 완전 문외한이라는 것뿐이다.

 학비는 1만2000달러(약 1230만원)로 싸지 않다. 1년에 웹과 iOS(아이폰 운영체제) 과정을 각각 세 번만 운영하는데, 각 과정엔 20~40명만 받는다. 입학은 쉽지 않다. 2012년 10월 문을 연 이후 292명을 뽑았는데 4787명이 지원했다. 16대 1의 경쟁이다.

 지원자가 몰려드는 데는 이유가 있다. 안정적인 일자리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졸업생들은 온라인 결제회사 벤모, 미디어 기업인 엑스오그룹, 뉴욕타임스 등 쟁쟁한 회사에 자리를 잡았다. 취업률은 98%, 초봉은 최소 7만 달러(약 7200만원)다.

 내로라하는 4년제 대학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학위도 주지 않는 신생 학교가 어떻게 해낼 수 있었을까. 플랫아이언스쿨은 교육 당국자들이 생각해볼 점들을 여럿 제공한다. 학교는 대학 중퇴자인 아비 플럼바움(30·교장·왼쪽)과 하버드대 경영학석사(MBA)인 애덤 엔바(31·회장·오른쪽)가 세웠다. 둘은 트위터에서 만나 의기투합했다.

 - 성공 비결은.

 “학교를 시작하기 전 직접 만든 교육 과정을 들고 30개 이상의 기업을 찾아가 ‘이런 내용을 가르치면 되겠느냐’고 물었다. 기업들은 가르쳐야 할 것과 가르칠 필요가 없는 것들을 알려줬다. 그것들을 토대로 교육 과정을 새로 만들었고, 그대로 가르쳤다. 나중에 그 회사에 가서 ‘당신들이 원하는 것을 다 가르쳤다’고 말했다. 고용주·강사·학생의 3각 연결을 완성한 것이 주효했던 것 같다.”(엔바)

 플럼바움과 엔바는 직업교육의 수요자가 누군지를 정확하게 꿰뚫었다. “대학에선 이론과 원리를 많이 가르치지만 정작 시장이 요구하는 것을 가르치지 않는다”며 “우리는 학생들을 채용할 회사를 우리의 고객으로 본다”고 말했다.

 플랫아이언스쿨의 또 다른 특징은 교육 과정의 거품을 뺐다는 점이다. “어떻게 4년에 하기도 어려운 프로그래머 양성을 12주 만에 할 수 있느냐”고 묻자 플럼바움의 대답이 빨라졌다. 그는 “대학 1학년 때 전공과 연관 없는 기초 동물학과 기초 독일어를 듣느라 시간을 허비했다”며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줬다.

 “물론 12주는 대학 4년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하지만 대학 전공자가 4년간 듣는 프로그래밍 과목은 8개 정도다. 한 과목당 수업량은 한 학기에 매주 세 번, 한 번에 2시간 정도다. 우리 학생들은 프로그래밍만 매일 9시간씩 12주를 배운다. 결코 적은 양이 아니다. 한 가지를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우리는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은 절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는다.”

 학교는 자유분방했다. 학생들은 4~5명씩 팀을 이뤄 과제를 수행했다. 막히면 강사들을 찾았다. 플럼바움은 “강사 대 학생 비율은 1대 7”이라며 “모든 강의는 녹음되고, 실습실은 늘 열려 있다”고 소개했다.

플랫아이언스쿨의 커리큘럼은 기존 교육 시스템에는 없는 파격이다. 뉴욕시는 어떻게 대했을까. 플럼바움은 “학교를 시작한 지 몇 달 뒤 직업 학교를 운영하려면 면허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뉴욕시가 1년이란 기간을 주고 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줬다”고 말했다. 뉴욕시는 아예 이 학교와 손잡고 공동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저소득 뉴요커들이 전문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도록 뉴욕시가 교육비를 전액 부담하는 22주짜리 과정이다. 벤처 투자가들도 이 학교를 주목하고 있다. 플럼바움과 엔바는 지난 4월 550만 달러를 펀딩했다. 그 돈은 학교 규모를 키우기보다 수업의 질을 높이는 데 쓰고 있다.

인터뷰에서 플럼바움과 엔바는 컴퓨터공학 분야의 인력 부족을 걱정했다. 미국 시장은 2020년까지 140만 명을 필요로 하는데 대학 전공자들은 40만 명밖에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 교육기관의 인력 공급이 시장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분야가 어디 컴퓨터공학뿐일까. 그 미스매치를 메우는 ‘새로운 학교’는 점점 늘어날 것이다.

출처: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4/08/16/15123452.html

http://flatironschool.com/

오직 나를 믿고 내가 느끼는 대로 밀고 나갈 뿐

‘나는 이걸 하려고 태어났구나’하는 존재의 이유이자 결기의 응축물이다. 그래서 그는 말한다. “저는 제도권 수업을 받지도 않았고 장르를 나누지도 않습니다. 학맥도 없고, 지연도 없고, 재능도 별로 없어요. 어떤 공식 모임에도 나가지 않습니다. 물론 친구들이 있고 찾아 오면 반갑게 맞이하죠. 하지만 저로서는 어떤 틀을 만드는 순간, 타협입니다. 순응하며 살고 싶지 않아요. 오직 저를 믿고 제가 느끼는 대로 밀고 나갈 뿐입니다.” 가구 디자이너 – 박종선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35050